딥러닝 베이직 - 07.Transformer 모델 기초

BoostCamp AI Tech

Transformer

Attention Mechanism

Multi Headed Attention

02/04/2021


본 정리 내용은 Naver BoostCamp AI Tech의 edwith에서 학습한 내용을 정리한 것입니다.
사실과 다른 부분이 있거나, 수정이 필요한 사항은 댓글로 남겨주세요.


Transformer

Sequential Model의 한계점

RNN에서 다루었던 Sequential Model들은 완벽한 구성성분을 가진 특정 데이터가 아니면 학습하기가 어려웠다.

  • 문장을 학습시킨다고 할 때
    • Original Sequence
      • 나는 오늘 학교에 가서 학식을 먹었다.
    • Trimmed Sequence - 문장마다 길이가 다르다.
      • 나는 오늘 학교에 갔다.
    • Ommited Sequence - 문장성분이 누락되어 있을 수 있다.
      • 오늘 학식 먹었다.
    • Permuted Sequence - 성분의 순서가 permute 될 수 있다.
      • 오늘 학교 가서 학식 먹었지, 나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고자 등장한 것이 Transformer 구조이다.

Transformer 구조

Transformer란?

Attention is All you Need, 2017

재귀적으로 Input이 들어가는 RNN 모델과 달리, Transfomer는 attention이라고 불리는 구조를 활용하여 sequence를 해석하는 모델이다.

최초에는 신경망기계번역(Neural Machine Translation, NMT) 문제에 사용되었지만, 시퀀스 데이터를 처리하고 인코딩하는 방법이므로, NMT 문제 뿐 아니라 여러 분야에 사용될 수 있다. 이미지 분류, detection, visual translation 등 활용도가 넓다.

아래의 내용들은 Jay Almmar의 Transformer에 관련된 글을 얕게 풀이한다. 더 깊은 내용이 궁금하다면 해당 블로그를 참조하자.

The Illustrated Transformer

형태

불어를 입력값으로 주면, 번역한 영어를 내뱉는 seq2seq(Sequence-to-Sequence) 모델이 있다고 하자.

en-de-stack

기존의 RNN 구조는 단어의 개수만큼 재귀적으로 수행해야만 했다. 그러나, Transformer는 재귀적 수행이 없고, 한번에 N개의 단어를 모두 처리할 수 있다. 물론 Generation 시에는 autoregressive하게 단어마다 수행한다.

또, 동일한 구조를 갖지만, 파라미터가 다르게 학습되는 인코더(Encoder)디코더(Decoder)가 stack되어있다.

여기서 중요한 포인트는 다음과 같다.

  1. 어떻게 N개의 단어를 한번에 처리할 수 있는가?
  2. 인코더와 디코더 간에 어떤 정보를 주고받는가?
  3. 디코더가 어떻게 Generation 할 수 있는가?

특히 그 중 1번에 집중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구조 뜯어 보기

encoder-detail

인코더는 Self-AttentionFeed Forward Neural Network라는 두개의 층을 모아놓은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인코더는 모든 단어 벡터를 한번에 입력으로 받으며, 출력값을 바로 다음 인코더로 전달한다. 이 중 Feed Forward Nerual Network는 MLP과 별 다른 차이가 없다.

self-attention

Self-AttentionAttention 메커니즘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Self-Attention에서 Feed Forward 층으로 넘어갈 때, 문장에서 특정 단어만 보는 것이 아니라 문장의 모든 단어를 모두 활용한다. 따라서 Self-Attention 층에서 output을 내보낼 때, 모든 단어들과의 dependancy가 생기게 된다.

  • Feed Forward Neural Network는 input된 단어들에 대해 독립적 / 병렬적으로 수행하므로 dependacy가 없다.

self-attention2

"The animal didn't cross the street because it was too tired."라는 문장이 있다고 했을 때, it이 무엇을 의미하는 지 알아내는 것은 문장 해석의 중요한 포인트이다.

이 때 Self Attention을 사용하면 문장 내에서 it에 대응하는 단어들을 모두 고려하여 가장 가능성이 높은 'animal'로 학습하게 된다. 따라서 기계가 문장 내부에서 단어의 의미를 비교적 더 잘 이해할 수 있다고 표현할 수 있다.

self-attention3

Self Attention 구조는 마치 3개의 신경망처럼 작동한다. 하나의 입력(단어 임베딩, word embedding)이 주어졌을 때마다 각 신경망을 통해서 다음과 같은 3개의 벡터를 만들어낸다. 이 3개의 벡터를 이용하여 입력받은 단어 XX를 새로운 벡터로 바꿔주게 된다.

  1. Query
  2. Key
  3. Value

self-attention-output

단어가 주어지면, 해당 단어에 대한 Query 벡터와 나머지 모든 단어에 대한 Key 벡터를 구한 뒤 내적하여 Score 벡터를 구한다. 이 score들은 ii번째 단어가 다른 단어와 얼마나 유사도(관계)가 있는지 계산하는 역할을 한다. 즉, 신경망은 해당 단어와 나머지 단어 사이에 얼마나 interaction이 일어나야하는지를 학습할 수 있다. 어떤 단어를 더 주의(attention)깊게 볼 지 정하는 것이므로 attention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계산된 Score 벡터에 Normalize를 한다. 이 때 나누어주는 8이라는 숫자는 Key 벡터의 dimension과 관련이 있다. Key 벡터를 몇 차원(dk)d_k)으로 만드는가는 직접 정해주는 하이퍼파라미터이며, Normalize 시 dk\sqrt{d_k}를 나눠주어 score의 range를 조정해 준다. 이후 Normalize 된 Score에 Softmax를 취해 이를 attention rate로 바꾸어 준다.

attention rate와 각각의 단어에서 나오는 Value 벡터들의 가중합(weighted sum)이 최종적으로 해당 단어의 인코딩된 벡터(encoded vector)가 된다.

이 때 유의할 사항들이 몇 가지 있다.

  • Score 벡터를 구하기 위해 Query 벡터와 Key 벡터를 내적해야 하므로, Query와 Key 벡터의 차원은 같아야한다.
  • Value 벡터는 차원이 달라도 된다. Value 벡터는 attention rate와 가중합을 계산하기만 하면 되기 때문이다.
  • 최종적으로 산출되는 (특정 단어의) 인코딩된 벡터는 Value 벡터의 차원과 동일하다.

이를 행렬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self-attention-matrix

  • XX의 각 row는 하나의 단어를 의미하고, column은 단어의 임베딩을 의미한다.
  • Q,K,VQ,K,V는 각각 Query 벡터, Key 벡터, Value 벡터를 의미한다.

self-attention-matrix2

길게 설명했던 Self Attention의 과정을 matrix간의 계산으로 표현하면 위와 같은 짧은 식으로 도출된다.

이 때 softmax는 Row-wise하게 적용해야하며, dim(V)dim(V)-여기서는 3-와 dim(Z)dim(Z)가 같고, dim(Q)dim(Q)dim(K)dim(K)와는 다를 수 있다는 점을 주목해야한다.

원리

그렇다면 도대체 왜 이러한 어텐션 메커니즘(Attention Mechanism)이 잘 작동하는 것일까?

어떤 이미지가 주어졌다고 생각하자. 이 이미지를 MLP나 CNN에 집어넣으면, 입력이 Fix되어 있으므로 출력이 고정된다.

그러나 Transformer는 네트워크가 Fix되어있다고 하더라도, 인코딩하려는 단어와 그 옆의 단어들에 따라 인코딩 결과값이 달라진다. 따라서 결과적으로 MLP보다 좀 더 유연한 모델이 된다. 단순히 입력된 단어에 따라 출력이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옆에 주어진 다른 입력(단어)들을 모두 고려하므로 출력이 변화할 여지가 있기 때문이다.

물론, 더 많은 것을 고려하므로 더 많은 연산(n2)n^2)이 필요하게 된다. 예를 들어 1000개의 단어가 주어지면 한번에 1000^2의 입력을 처리해야한다. 반면, RNN은 1000개의 단어가 주어지면 그냥 연산을 1000번 수행하면 된다. 너무 긴 입력이 주어지면 메모리 부족으로 한번에 계산할 수 없다는 한계를 가진다.

정리하자면,

  1. 기존의 RNN에 비해 훨씬 더 많은 문맥정보들을 파악할 수 있다.
  2. 연산자원이 비교적 많이(n2)n^2) 든다.

Multi-headed attention

Multi-headed attention(MHA)은 앞에서 이야기했던 attention 과정을 여러번 수행한다. 하나의 임베딩 벡터(입력)에 대해서 (Query,Key,Value) 벡터 셋을 여러 개 만든다. 이 때문에 multi-headed(머리가 여러개)라는 이름이 붙었다.

mha

MHA로 nn 개의 헤드를 사용해 nn 개의 인코딩된 벡터가 나오게 되면, 이 값을 concatenate하여 다음 인코더로 넘겨준다. 이 때, 여러 번의 인코더를 타야 하므로, 인코딩된 벡터(출력값)의 차원을 인코딩 하기 전의 입력값 차원과 동일하게 맞춰줄 필요가 있다. 그런데 MHA의 (concatenate 된) 출력 벡터는 기존의 입력값에 비해 nn 배의 차원이 되었으므로, 이를 적절한 행렬 WOW^O와의 행렬곱을 통해 기존의 크기로 변환시켜준다.

그러나 실제 구현은 위와 같은 방식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원래 주어진 임베딩 단어의 차원이 100차원이고 10개의 head를 사용한다면, 이를 10개로 나눈다. 즉, 10차원짜리 입력만을 가지고 Query, Key, Value 벡터를 만들게 된다. 이는 구현된 코드를 보고 직접 확인해보자.

Positional Encoding

Transformer 모델은 마치 bias처럼 입력에 특정 값을 더해주는 Positional Encoding도 수행한다. 왜 이런 Positional Encoding이 필요한 것일까?

Transformer 모델은 여러 단어들을 동시에 고려하도록 설계되었지만, sequential한 정보가 포함되어있지 않기 때문이다. [a,b,c,d]로 이루어진 문장구조나, [a,d,b,c]로 이루어진 문장 구조나 동일하게 단어간의 attention만을 측정할 뿐이므로, 순서에 독립적(order-independent)이다.

그러나 실제 문장에는 어떤 단어가 먼저 나왔고 그렇지 않은지가 중요하다. 이미지에서도 마찬가지다. 따라서 주어진 입력에 대해 어떤 값을 더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해결한다.

이에 대해서는 자세히 설명된 다음 블로그 글을 참고하자.

positional encoding이란 무엇인가

위에서 이야기했던 Transformer 모델의 Encoder 과정들을 다음과 같은 도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transformer-layer

Decoder

이제 Decoder를 살펴보자.

인코더에서 디코더로 넘어갈 때, 어떤 정보들이 전달될까?

원리

decoding_1

Input에 있는 값들을 디코더에 있는, 즉 출력하고자 하는 단어들에 매핑하는 Attention Map을 만드려면, Key 벡터와 Value 벡터가 필요하다. 마지막 인코더 층(가장 상위 인코더)의 출력값은 여러 단어들의 [Key 벡터, Value 벡터] 시리즈로 제공되고, 이 값들을 각 Decoder 내부의 'Encoder-Decoder Attention' 계층에서 해석하여 입력 시퀀스의 적절한 위치를 잡아주게 된다.

  • 이 Encoder-Decoder Attention Layer는 MHA와 동일한 방식으로 동작하지만, Query 벡터를 이전 Decoder에서 받아오고 Key, Value 벡터를 인코더 스택에서 받아온다는 차이가 있다.

decoding_2

디코더의 마지막 층에서는, 디코더 스택의 출력물을 단어들의 분포로 만들어 내보낸다. 이 단어들을 매번 샘플링하는 형식으로 모델의 출력이 만들어진다.

모든 출력이 끝나면, EOS(End Of Sentence) 토큰이 나와 종료를 알린다.

Transformer의 활용

최근에는 Transformer의 활용이 시퀀스 데이터에만 머무르지 않고, 이미지 영역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Vision Transformer

An Image is Worth 16x16 Words: Transformers for Image Recognition at Scale

Transformer 모델에서 인코더를 차용해 이미지 분류 시에 사용한다.

DALL-E

DALL·E: Creating Images from Text

문장이 주어지면 이에 맞는 이미지를 만들어낸다. Transformer의 decoder만 이용하여 만들었다.(GPT-3를 활용했다고 한다)


개인적으로 3주간 공부하면서 가장 어려운 파트였다. 개념 상 이해해야 하는 부분도 많았고, 특히 최근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모델링이어서 제대로 이해하고싶은 마음에 이것저것 찾아보는데 무엇하나 명확하게 그림이 그려지지 않아서 더 어려웠다. 아쉬운대로 넘어가지만, 추후에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며 보강해가야겠다.


WRITTEN BY

알파카의 Always Awake Devlog

Seoul